본문 바로가기

지식Q&A

박인희 노래모음듣기


박인희 노래모음듣기 유튜브 동영상 소개합니다.


 


박인희 씨에 대해서 나무위키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을 알려드릴께요.




1970년대를 풍미한 지성파 여자 포크 가수. 별명은 '노래하는 시인'이다.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재학 중인 1970년에 혼성 듀엣 뜨와에므와[1]로 데뷔하고서 「약속」[2] 「세월이 가면」[3]으로 인기를 얻었고 많은 팬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1972년 솔로로 독립하고서 1976년까지 앨범 6장과 시를 낭송한 음반[4]을 내놓았다. 정서를 대단히 듬뿍 담고 있고 시의 정취가 있으며 여성스럽고도 기품이 있는 여러 곡을 담아서 대중가요인데도 음반이 발매될 때마다 문학, 고전음악과 샹송을 사랑하는 다수한 팬에게 많은 찬사를 받았다.

박인희의 음색은 매우 청아했고 노래할 때 감정은 극도로 절제되어 있었으면서도 그녀가 추구한 음악은 촉촉한 감수성으로 가득하고 문학다운 낭만이 넘치는 매력이 있었다. 매우 쉬운 단어로 인생과 사랑을 속삭이는 듯하였으나 그 노랫말은 매우 유식하면서 뜻이 깊은 특색이 있었다. 대표곡은 「모닥불」[[5]인데 당시에서 1980년대까지 대학생들이 membership training을 할 때마다 즐겨 부르던 노래로, 누구든지 이 노래를 한 번도 불러보지 않은 사람이 없고 「방랑자」[6], 「하얀 조가비」[7], 「끝이 없는 길」[8]「그리운 사람끼리」[9]도 크게 사랑받았으며, 이런 노래는 가사나 멜로디에 불필요한 겉멋이나 너절한 장식이 들어가 있지 않은 탓에 21세기인 지금에 다시 들어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다.

시집 『지구의 끝에 있더라도』, 『소망의 강가로』과 수필집 한 권을 출간하는 등 문학가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그렇게 글 솜씨에 일가견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심야 방송에서 라디오 DJ로도 명성을 떨쳤다. 수녀 이해인과 여자중학교 동창으로서 서로 친하게 지냈다. 가수 활동을 접고서 미국으로 건너가서 한인 방송국장으로서 일하면서 살았는데[10] 지금 아들이 미국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이라는 소문도 있다. 연예계를 떠나고서는 언론에 노출되기를 싫어하여 현재 알려진 근황이 거의 없다.

그러다가 2016년, 근 35년 만에 한국에 모습을 드러냈다. 한참이 지나도 자신을 기억해주는 팬이 있다는 것에 놀랐고, 주저하면서도 다시 노래와 시를 쓰면서 지내다가 한국에서 콘서트를 열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기사링크 4월 30일 올림픽홀에서 여는 '그리운 사람끼리'를 시작으로 5월 30일 까지 전국투어 콘서트를 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상 박인희 노래모음 듣기 유튜브 영상 소개였어요



Age is no guarantee of maturity. – Lawana Blackwell